티스토리 뷰
이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00역에서 노숙하는 분들과 생활을 하기로 마음먹었다. 이때 연구 참여자의 동의를 얻기 위해 본인의 신분을 밝히는 것이 옳을까? 아니면 정확한 연구를 위해 신분을 숨기는 것이 옳을까?
[질문] 본인이라면 어떻게 할 것인지 토론해봅시다.
제목: 사회복지조사에서 조사자의 신분 공개의 필요성
사회복지조사 과정에서는 윤리적 문제가 자주 발생하며, 그중 조사자의 신분 공개 여부는 중요한 논의 대상이다. 나는 조사자가 신분을 숨기지 않고 분명히 밝히고 연구를 진행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 이유는 윤리적 문제를 포함해 조사 대상자의 신뢰와 관련된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조사자가 신분을 숨기고 연구를 진행하다가 대상자가 이를 알게 된다면 신뢰가 무너져 더 이상 연구에 참여하려 하지 않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경험은 조사 대상자가 이후에도 관련된 연구나 조사에 참여하지 않게 만들어, 사회 전반적으로 조사에 대한 신뢰를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신분을 은폐하게 되면 올바른 절차에 따른 조사가 이루어지기 어렵다. 조사 목적과 절차를 대상자에게 충분히 설명하지 못하면 윤리적 문제가 발생하고, 조사 자체의 타당성을 확보하기도 어렵다. 더 나아가, 조사자 본인도 신분 은폐로 인해 비윤리적이라는 인식을 하게 되면서 조사 과정에서 불편함과 심리적 부담을 느낄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상황은 결국 정확하고 객관적인 연구 진행을 방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조사자는 신분을 은폐하기보다는 조사 대상자를 적절히 선별하고, 연구 목적과 과정에 대해 투명하게 설명하며 동의를 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는 조사 대상자의 신뢰를 얻고, 윤리적 문제를 방지하며, 연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다.
요약 및 개인 의견
조사자의 신분 공개는 사회복지조사에서 대상자의 신뢰를 확보하고, 윤리적 문제를 방지하며, 연구의 타당성을 높이는 데 필수적이다. 신분을 숨기고 연구를 진행하면 대상자와의 신뢰가 무너질 뿐 아니라 조사 자체의 타당성과 윤리성이 훼손될 위험이 있다. 개인적으로, 조사 과정에서 신분을 공개하는 것은 단순히 윤리적 의무를 넘어, 대상자와 조사자 간의 신뢰를 형성하고 더 나은 결과를 도출하는 핵심 요소라고 생각한다. 사회복지는 인간의 삶에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어내는 분야인 만큼, 모든 과정에서 투명성과 진정성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본다. 특히, 노숙인과 같이 사회적으로 취약한 위치에 있는 대상자들과의 조사에서는 이들이 존중받고 있음을 느낄 수 있는 접근 방식이 필수적이라고 믿는다.
'토론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사회에서 경험적 가족치료의 유용성과 도전 (0) | 2025.01.26 |
---|---|
기러기 가족 내 유대감 증진 방안 (1) | 2025.01.26 |
사회복지정책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서 배웠습니다. 그 요인 중 하나를 예를 들어서 (0) | 2025.01.22 |
복합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는 학생과 그 가정의 사례가 학교사회복지사인 의뢰가 되었을때(선택을 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0) | 2025.01.21 |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성격특성과 정신건강의 관련성에 대해 토론해보세요 (1) | 2025.01.21 |
- Total
- Today
- Yesterday